분류 전체보기
-
OVERVIEW : SVDMath♾️/Singular Value Decomposition 2022. 10. 9. 23:48
고윳값과 고유벡터 위는 행렬 $A$, 고유벡터 $\vec{v}$, 고윳값 $\lambda$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다. 위 식은 무엇을 의미할까? 고유벡터 $\vec{v}$에 행렬을 곱하였더니 방향은 $\vec{v}$을 유지하며 벡터의 크기만 $\lambda$만큼 변화하였다. "고유벡터는 행렬이 곱해졌을 때 방향이 변하지 않는다" 이것이 고유벡터가 변화를 나타낼 때 유용하게 쓰이는 이유이다. 고유벡터가 아닌 벡터들은 행렬 곱으로 인한 변화가 방향과 크기 모두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서로 선형독립인 벡터들을 기저로 하는 좌표계를 사용하더라도 고유벡터가 아닐 경우 행렬 곱으로 인한 변환이 각 기저벡터들의 방향을 변화시켜 각 축간의 중첩이 생겨 선형독립이 깨지게 되며 해당 좌표계상에서 나타나던 값들이 행렬로..
-
[JAVA] EnumsProgramming🧑💻/Java 2022. 10. 8. 22:52
Enums 보통의 변수는 어떠한 연산이나 논리 관계 속에서 역할은 정해져 있지만 가질 수 있는 값은 입력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특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피타고라스 정리($a^2+b^2 = c^2$) a, b, c는 밑변, 높이, 빗변으로 표현되지만 가질 수 있는 값은 한정할 수 없다. 하지만 월요일 부터 일요일까지 존재하는 요일은 요일이라는 변수에 값의 범위가 정해져 있다. 이처럼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가 한정된 경우에는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을 상수의 집합으로 묶음으로써 코드를 명료하게 할 수 있다. * 어떠한 변수 이름을 갖는 객체가 가질 수 있는 값(인스턴스들)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 인스턴스들을 그룹화 하여 객체가 지시할 수 있는 인스턴스들을 제한한다. Enums 정의하기 public en..
-
오늘도 어둠속으로 뛰어든다.Bull-shit🐶 2022. 10. 7. 22:22
낮동안 시간의 찰나를 놓치지 않으려 애썼던 안경을 내려놓고 어둠 속으로 걸어 들어간다. 매일 써도 콧잔등을 지그시 누르는 감촉은 통 익숙해지지 않는다. 내리는 불들은 모두 사그라들었지만 억지로 붙인 불들이 아직 꺼지지 않는 밤을 붙잡고 있다. 눈에 힘이 풀리고 찾아 들어오는 빛들이 줄어드니 오히려 더 잘 보이는 듯하다. 아무리 신경을 비추어도 보이지 않던 것들이 뇌와 눈 사이 어딘가에 떠다니고 잡으려 하지 않으니 점점 색깔을 더해간다. 어렸을 적에는 어둠이 찾아오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시선 속에서 생각조차 하지 않던 것들이 불쑥 튀어나올 것만 같았다.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본능적인 두려움이었을까 어느 순간부턴가 고맙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세상과의 사이에 잠시나마 거리를 주는 것이 어떠한 곳에 있어..
-
모르는 것에 대한 태도Bull-shit🐶 2022. 10. 1. 23:59
무언가를 배움에 있어 무지가 부끄러움으로 다가올 때가 있다. 뭔가를 읽고는 있는데 아무것도 머릿속에 그려지지 않을 때, 생각을 하려 해도 머리가 거부하는 느낌이 든다. 능력의 부재를 탓하기도하고 그저 흘려버린 시간들에 대한 미련을 토해내기도 한다. 배우려하는 것들이 단지 문장 몇개로 정리되어 간단해 보일지라도 수많은 사람들의 머리를 거치며 정제되고 다져진 것들인데 이 점을 생각하지 않으면 표면적으로 보이는 글들에 좌절하곤 한다. 이러한 것들이 한번에 이해가지 않는 것이 당연한 것인데 말이다. 무지를 아는 이가 배움을 구한다. 무지를 부끄러워하면 더 많은 것들로 부터 스스로를 가두어 놓는 것이다. 모른다는 사실을 안다는 것 자체가 존재조차 몰랐다는 것에 대하여 유와 무를 구분할줄 알게 되는 것이다. 배운다..
-
왜 Database Management System가 필요한가?CS💻/DBMS 2022. 9. 30. 22:25
"생존을 위해 필요한 정보의 양이 너무 많아졌다." 인간이 주변으로부터 생존에 필요한 정보는 기억을 통해 보존하였다. 하지만 기억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정보를 어딘가 남기고자 하는 욕망이 생겼고 이는 문자의 발전을 이끌었다. 문자의 발전은 정보의 수명을 증가시킴으로써 한 개인에 정보의 보존 기간을 늘릴 뿐만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이 접근 가능한 정보의 양을 늘렸다. 이는 정보간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정보들의 생산을 이끌었으며 보존 기간의 증가와 함께 정보의 양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켰다. 정보의 급격한 증가에 너무 많아지고 흩어져 있는 정보들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것이 어려워지자 이를 한데 모아 분류함으로써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욕망이 생겼다. 따라서 도서관을 짓고 사서를 둠으로써 정보의 효과적 ..
-
[JAVA] data type : 원시형과 참조형의 차이Programming🧑💻/Java 2022. 9. 28. 23:10
- 참조형(Reference type) // String class로 "java"라는 문자열을 객체를 만든뒤 // language 변수는 만든 객체를 참조한다. String language = new String("java"); - 원시형(primitive type) // 변수 a에 값 1을 저장한다. int num = 100; 변수에 값을 지정할 때 변수를 지정 시 Stack 영역에 변수가 올라간다. 원시형 변수를 사용하면 Stack 상에서 변수가 값을 지니고 있다. "new" 키워드를 사용하여 클래스를 통해 객체를 만들면 Heap 영역에 생성한 객체에 대한 메모리가 할당되어 저장된다. 참조형 변수를 사용하면 원시형 변수가 Stack 상에 값을 가지고 있는 것과 달리 객체가 저장되어 있는 Heap의 메..
-
Sparsity는 무엇을 의미하는가?Math♾️/Sparsity and Compression 2022. 9. 28. 13:11
우리가 얻는 신호 중에 실제 인지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의 수는 아주 적다. $20*20$ pixel로 이루어진 흑백이미지가 있다고 해보자. 이 흑백이미지가 표현할 수 있는 신호의 개수는 얼마나 될까? 한 pixel이 흑과 백 두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2^(20*20)$에 표현가능한 이미지 공간을 형성한다. 계산 결과는 $2.58225e+120$로 우리가 상상으로도 범접하기 힘든 숫자이다. 해당 이미지 공간에서 우리가 인지 가능한 이미지의 수는 극히 일부를 차지한다. 그러면 표현가능한 이미지 공간상에서 인지가능한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존재하여 해당 요소들과 관련된 성분만 추출할 수 있다면 우리는 필요한 성분만 남기고 압축된 형태로 저장 및 전송을 할 수 있으며 이 성분들만 가지고 원래의..
-
왜 정보는 압축이 가능한가?Math♾️/Sparsity and Compression 2022. 9. 27. 23:30
"원숭이들이 자판을 무한히 자판을 두드렸을 때 세익스피어가 나올 수 있다" 위의 말은 무엇일까? 원숭이들이 자판을 무작위로 두드리면 말도 안되는 철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글이 나올것이다. 하지만 확률에 신비한 마법으로 세익스피어와 같은 명작이 나올수도 있다. 즉 이 말은 철자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수 많은 글이 하나의 공간을 이룰 때 우리가 읽을 수 있는 글자는 해당 공간 상에서 극히 일부를 차지하며 그 중에서도 고전과 같은 명작이 나오는 것은 더 적은 수라는 것이다. 살아오면서 보고,듣는 것들로 세상이 이루어져 있다고 체험을 통해 느끼지만 우리가 인지 할 수 있는 구조화 된 신호인 오디오, 사진, 영상등은 무작위적인 조합으로 만들어 질 수 있는 것들로 이루어진 공간에 극히 일부에 해당한다. 반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