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Spring
-
DTO(Data Transfer Objects)를 왜 쓸까?Programming🧑💻/Spring 2023. 8. 21. 15:52
DTO를 사용하는 이유 DTO(Data Transfer Objects)는 개발할 소프트웨어의 아키텍처가 계층화되어 있어서 각 레이어 간의 데이터의 교환이 필요하거나 외부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이 있는 경우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용 객체이다. 엔티티를 직접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지만 추후 기술할 이점들 때문에 DTO를 사용한다. 일단 이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해 보자. 당신은 장난감 가게를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장난감을 보유하고 있으며 장난감이라는 각 객체는 상품명, 가격, 제조일자, 제조국, 보증기간 등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때 장난감이라는 객체는 변하지 않지만 이 객체를 어디서(계층)에서 다루냐에 따라서 장난감이라는 객체에 대해 필요..
-
[Spring] 스프링 필터와 필터 체인Programming🧑💻/Spring 2023. 3. 27. 14:42
스프링 어플리케이션 요청과 응답 흐름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는 것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서버에서 여러 동작을 통해 동적으로 만들어낸 응답을 내준다. 여기서 응답을 처리하고 정해진 동작을 하는 요소들을 웹 컴포넌트라고 한다. 웹 컴포넌트들은 독립적으로 있지 않고 컨테이너 안에서 관리된다. 컨테이너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으면 해당 요청을 처리할 웹 컴포넌트를 지정해 주는 역할을 하며, 웹컴포넌트들의 전반적인 생명주기(초기화 - 동작 - 제거)를 관리한다. 자바에서의 웹 어플리케이션 자바에서는 웹 컴포넌트를 서블릿이라고 하며, 서블릿을 관리하는 컨테이너를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한다. Tomact은 서블릿 컨테이너의 일종이다. 스프링 더하기 서블릿 컨테이너로는 구현가능한 동작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