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 - 나선형 고리의 축Library📓 2025. 7. 6. 19:29
'인생은 나선형으로 상승한다'는 말을 누가 제일 먼저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적절하고 생생한 비유다. 다만 상승의 폭이 무척 작고 속도가 느리다는 말이 빠졌을 뿐, 인생은 등장하는 이름과 형태만 바뀔 뿐 늘 지난날이 반복되고 우리는 과거에 만났던 사람을 새로운 이름으로 다시 만난다. 타인은 나와 관계만 있지, 개성은 없다. 예를 들어 여자 친구를 사귀다 보면 시간이 갈수록 전 여자친구와 비슷하다는 걸 발견하게 된다. 단순한 착각이라고 치부할 수도 있지만, 두 여자는 이름과 외모가 달라도 내 '여자 친구'를 연기하면서그 배역에 맞춰 공통된 면모를 보여줄 뿐이다. 배우가 다르고 각본이 다를지라도 똑같은 인물을 연기하면 두 배우가 보여주는 모습이 상당히 비슷해지는 것처럼 말이다. 그 사실을 깨닫고 나면 다음 번 ..
-
SideEffect 는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될까?Programming🧑💻 2025. 6. 1. 21:20
사이드 이펙트(Side Effect)의 일반적인 의미 프로그래밍에서 사이드 이펙트(Side Effect) 또는 부수 효과는 어떤 함수나 표현식(expression)이 주어진 입력값을 반환하는 것 외에,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에 관찰 가능한(observable) 변경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즉, 함수의 실행이 함수 외부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외부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조금 더 쉽게 말해, 함수가 "나에게 주어진 일만 하고 그 결과만 내놓는 것"이 아니라, "외부 세계에 영향을 미치거나, 외부 세계로부터 무언가를 가져오는 모든 행위"가 바로 사이드 이펙트입니다.let totalSum = 0; // 외부 변수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입력(a,..
-
믿음은 계속 업데이트된다 - Bayes' ThoremMath♾️/Probability Statistics🎲 2025. 5. 30. 20:01
"만약 정확도가 99% 인 암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는다면, 실제로 암에 걸렸을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대부분의 사람들은 99%라고 답할 것입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정답은 단 9%입니다.이것이 바로 베이즈 이론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반직관적이면서도 중요한 깨달음입니다.왜 우리는 이런 착각을 하게 될까요?우리의 직관은 종종 우리를 속입니다. 특히 확률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더욱 그렇죠.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원인과 결과를 혼동하거나, 드문 사건의 영향을 과소평가하거나 특정 부분을 과대 평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베이즈 이론은 이런 함정에서 우리를 구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토마스 베이즈라는 18세기 영국의 목사이자 수학자가 만든 이 이론은 오늘날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부터 의료 진단, 금융 투자까지 우리 삶의 모든..
-
빚쟁이가 되어버린 코더들Programming🧑💻 2025. 5. 29. 20:31
🤔 당신의 코드는 안녕하신가요?개발자에게 "우리 회사의 자산은 어떤 것들이 있지?"라고 묻는다면 다음과 같은 답변이 올 수 있습니다."우리가 만들고 있는 코드베이스 아닐까요?"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코드가 진짜 황금 알을 낳는 거위일까요? 손 때가 탄 코드에서 잠시 멀어져서 냉정하게 다시 따져보면. 사실 코드는 자산이 아니라 부채가 아닐까요? 📊 잠깐, 회계 얘기부터 해볼게요"갑자기 뭔 회계?"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잠깐만 들어보세요. 우리도 결국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들이니까요.회계에서 말하는 자산과 부채를 간단히 말하면 자산이란? 앞으로 돈을 벌어다 줄 것들현금, 건물, 장비, 특허 같은 것들예를 들어 카페 에스프레소 머신 → 커피 만들어서 돈 벌어줌부채란? 앞으로 돈을 내야 할 것들대출..
-
인간으로서 살아남기Bull-shit🐶 2025. 5. 25. 23:18
AI가 모든 직업을 대체할 것이다.FOMO(Fear Of Missing Out)를 자극하는 문구들에 강한 반항심을 가지고 있는 나지만, 매번 새로운 AI 모델이 나올 때마다 체감되는 성능 향상에 놀라워하면서도 이 칼의 날이 어느 순간 손잡이까지 미칠 것 같다는 서늘함을 함께 느낀다. 인터넷, 스마트폰 등 다양한 변화와 함께하며 살아왔지만 이번 점프는 단순한 도구의 발전이 아니라 인간의 인지 범위 확장을 강제할 엄청난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구는 아무리 정교하게 만들어져도 다루는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지 못하지만 AI는 단순한 챗봇을 넘어서 Agent라는 형태로 사용자 통제를 벗어나 스스로 일을 하기 시작했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AI가 허락을 구하는 형태로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다는 인상을 주지만 ..
-
SwiftUI 뷰 계층 형성의 모든 것Apple🍎/SwiftUI 2025. 5. 25. 16:02
SwiftUI를 처음 접하면서 가장 직관적이면서도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는 뷰가 어떻게 구성되고 계층이 형성되는지입니다. 겉보기에는 단순해 보이는 코드가 실제로는 복잡한 뷰 계층 구조를 만들어내는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나죠. 오늘은 이 마법의 비밀을 함수형 빌더 패턴부터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함수형 빌더 패턴이란 무엇인가?SwiftUI의 뷰 계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함수형 빌더 패턴(Functional Builder Pattern)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 패턴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빌더 패턴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 방식입니다.전통적인 빌더 패턴 vs 함수형 빌더 패턴먼저 전통적인 빌더 패턴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전통적인 빌더 패턴 (객체지향적 접근)class UIVi..
-
DSL과 SwiftUI: 도메인 특화 언어의 이해와 활용Apple🍎/Swift 2025. 5. 24. 23:02
들어가며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대부분 범용적인 목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Swift, Java, Python 같은 언어들은 웹 개발부터 모바일 앱, 데이터 분석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죠. 하지만 때로는 특정 분야에서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용 언어가 필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DSL(Domain Specific Language)의 개념입니다.SwiftUI는 이러한 DSL의 훌륭한 예시입니다. UI 구성이라는 특정 도메인에 특화되어 설계된 언어로, 개발자가 더 직관적이고 선언적인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글에서는 DSL의 기본 개념부터 시작해서 SwiftUI가 어떻게 DSL로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
-
Swift 개발자를 위한 Objective-C 문법 요약Apple🍎/Objective-C 2025. 5. 23. 15:34
1. 기본 구문 차이파일 확장자와 구조Swift와 Objective-C는 파일 구조부터 차이가 있습니다.Swift파일 확장자: .swift단일 파일에 모든 코드 포함 가능Objective-C헤더 파일(.h) - 인터페이스 선언구현 파일(.m) - 실제 구현 코드예를 들어 Person 클래스를 생성할 때Objective-C 헤더 파일 (Person.h)#import @interface Person : NSObject@property (nonatomic, strong) NSString *name;@property (nonatomic, assign) NSInteger age;- (void)introduceYourself;@endObjective-C 구현 파일 (Person.m)#import "Person.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