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예제코드 개요 및 구성 파악하기Apple🍎/Architecture pattern 2023. 12. 6. 12:23
화면 Flow 해당 앱은 사용자의 ‘투두리스트’를 관리하는 앱으로 큰 범주의 TaskList가 있으면 각 TaskList안에는 더 작은 단위의 Task가 포함된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TaskList를 만든 뒤, 해당 TaskList안에서 여러 Task를 만들어서 관리할 수 있으며 완료된 Task는 check 표시가 가능하다. 1. Home Screen - Home Screen은 사용자가 지금까지 작성한 ToskList를 보여준다. - ToDoList가 아무것도 없을 때 ‘Press Add List to Start’ 라는 문구를 띄워 사용자 행동을 유도한다. - 사용자가 리스트를 작성하면 각각의 TaskList 에 대한 제목,아이콘,Task수를 리스트로 보여준다. 2. Add TaskList Screen..
-
아마도 그때는 절대 오지 않을 것이다.Bull-shit🐶 2023. 11. 22. 22:42
누군가가 무슨 일을 하면서 살고 싶냐 묻는 다면 "모르겠다" 성의 없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나름 시간을 가지며 질의응답을 해보아도 "모르겠다" 그렇다고 그럼 하고 싶은 게 없는 거네라고 한다면 서운한 말씀 정확히 하고 싶다기보다는 해보고 싶은 게 엄청나게 많다. 다만 꿈이나 목표 같은 단어에 가둘 만큼의 확신은 없어서 지금까지의 흔적들과는 어울리지 않는 일 같아서 계속해서 망설이며 그때가 오기를 기다린다. 하고 싶은 것도 정확히 알고 할 수 있는 시간도 있으며 해야 하는 이유도 있는 적절하고도 미묘한 그 순간만을 계속해서 기다렸다. 온다는 확신은 없지만 언젠가는 오지 않을 까라는 막연한 희망 한줄기 걸치고 삶은 유한하지만 언젠가라는 단어는 아직 무한한 주사위를 손에 쥐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해 주기에 한..
-
자신의 존재에 대해 사과하지 말 것 - 존재의 방식Library📓 2023. 10. 11. 22:38
세상에 딱 하나의 독립체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게 무엇이 있을까? 사람들의 모임, 세포들의 집합, 원자들의 결합 … 아무리 파고 내려가도 우리가 보통 접하는 것들은 모두 다 무언가의 구성체의 결과이다. 결국 어떤 하나든 다른 하나의 일부로서 존재하게 된다.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필연적으로 관계를 주고받아야 하고 이 과정 속에서 전체에 나를 묻히기도, 전체가 나를 묻기도 한다. 하나가 철저한 개인으로서 존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주변이 존재하기에 상대적인 관계로 하여금 나를 정의할 수 있다. 그렇기에 비교를 하지 말라는 것은 허공에 자신을 던지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무의 상태를 추구하는 것이다. 현실세계에서 ‘살고자’하는 생명체로써 이는 아주 어려운 과제일 것이다. 빛이 있기에 어둠에 숨을 수 있으며 고독..
-
예술가로 살아가기Bull-shit🐶 2023. 9. 22. 15:44
예술가라는 단어를 들으면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만드는 등 세상에 없던 새로운 것들을 창조해 내는 신비한 사람들이 떠오른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예술가라는 정체성은 아주 멀리 떨어진 이야기일 뿐이다. 하지만 예술가를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새로이 만들어내는 사람'으로 정의한다면 모든 사람들은 세상에 나온 순간부터 예술가로서 살아가는 것이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세상, 지금 내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현재는 완전한 외부 세계의 투영이 아니기 때문이다. 전 우주로부터 쏟아져 들어오는 셀 수 없는 자극을 1차적으로는 감각기관들이 2차적으로는 내면의 필터가 선별한 것들을 바탕으로 매 순간 각자만의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고 있다. 따라서 예술가의 정체성을 갖기 위해서 특별히 무언가를 새롭게 해야 되..
-
네트워크와 인터넷은 무엇인가?CS💻/Network🛰️ 2023. 9. 13. 14:29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이용하여 여러 장치들 간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통신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노드, 메시지, 간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노드 노드는 통신 시 데이터가 연결된 망을 통해 이동할 때 거치는 각 지점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핸드폰, 컴퓨터 또는 공유기, 라우터 등이 있다. 호스트는 통신에 있어서 데이터가 출발하고 도착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ex) 핸드폰, 컴퓨터 중간 노드는 최종 도착지인 호스트 간의 데이터가 이동할 때 거치는 노드를 의미한다. ex) 공유기, 라우터 간선(통신 링크) 간선은 노드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선들을 의미한다. 간 간선들은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이나 광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케이블과 와이파이와 같이 무선통신 장치..
-
DTO(Data Transfer Objects)를 왜 쓸까?Programming🧑💻/Spring 2023. 8. 21. 15:52
DTO를 사용하는 이유 DTO(Data Transfer Objects)는 개발할 소프트웨어의 아키텍처가 계층화되어 있어서 각 레이어 간의 데이터의 교환이 필요하거나 외부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이 있는 경우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용 객체이다. 엔티티를 직접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지만 추후 기술할 이점들 때문에 DTO를 사용한다. 일단 이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해 보자. 당신은 장난감 가게를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장난감을 보유하고 있으며 장난감이라는 각 객체는 상품명, 가격, 제조일자, 제조국, 보증기간 등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때 장난감이라는 객체는 변하지 않지만 이 객체를 어디서(계층)에서 다루냐에 따라서 장난감이라는 객체에 대해 필요..
-
JPA에서 엔티티 식별자를 사용하는 이유Programming🧑💻/JPA 2023. 8. 19. 01:23
일반적으로 서비스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요청과 응답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서비스에 글 보기, 댓글 조회하기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요청을 보내면 제공자는 이용자의 요청을 식별하고 이에 해당하는 응답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글, 댓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한다. 조회한 데이터를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가공하여(몇 개까지 보여줄 건지, 어떻게 보여줄 건지)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이용자가 글이나 댓글을 작성하기와 같은 요청을 보내면 제공자는 이용자에게 전달받은 데이터를 사전에 설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맞게 저장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즉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 간의 요청, 응답 흐름에서 서비스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통신이 필요하다. 서비스와 데이터베..
-
FFT가 빠른 이유Math♾️/Fourier Analysis 2023. 6. 22. 15:58
다항식 A(x)와 B(x)의 곱을 C(x)라고 하자. 이때 다항식 C(x)의 각 항의 계수들은 다음과 같이 각 항을 차례대로 곱하는 분배법칙을 통해서 구할 수 있다. 다항식 간의 곱 연산 시 계산되는 요소는 각 항의 계수이므로 다음과 같이 다항식의 각 항의 계수들만 배열의 형태로 나타내는 방법을 Coefficient Representation이라고 한다. Coefficient Representation을 이용해 각 항을 곱해나가며 계산을 할 경우 A(x)의 각 항은 B(x)의 모든 항과 한 번씩 곱연산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A(x), B(x)를 최고차항이 d라고 하면 A(x)의 하나의 항당 B(x)의 모든 d개의 항에 대해서 곱연산을 하며 이를 A(x)의 모든 d개 항에 실시하므로 기본적으로 총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