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매(auction)의 개념Game Theory 2022. 6. 4. 22:10
경매
입찰(bid)을 통해서 물건을 사고파는 절차를 말한다.
- 경매인(auctioneer)은 자신의 물건을 경매에 부쳐 높은 가격에 팔고자 한다.
- 입찰자(bidder): 입찰(자신이 사고자하는 가격을 제시)를 통하여 물건을 사고자 한다.
* 역경매
경매는 경매인이 물건을 제시하면 물건을 살 사람들이 가격을 제시하는 것과 달리
역경매는 경매인이 원하는 물건을 제시하면 물건을 팔 사람들이 가격을 제시한다.
공공사업이나 물품조달시 사용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학교에서 노트북 100대를 사려고 하면 여러 업체들이 자신이 얼마까지 팔 수 있는지 가격을 제시하는 상황이다.
경매의 방식
경매 중 입찰금액의 공개 여부에 따라 경매방식이 나뉜다.
공개경매
경매를 하는 중에 입찰자들의 가격이 공개되는 형태의 경매이다. 즉 경쟁자들의 가격을 보고 전략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순차게임의 형태를 띈다.
- 영국식: 최저가격부터 시작하여 입찰자들이 가격을 높여 부르면서 경매가 진행된다.
- 네덜란드식: 최고가격에서 시작하여 입찰자들이 가격을 낮춰 부르면서 경매가 진행된다.
밀봉경매
경매를 하는 입차자들의 가격이 공개되지 않는 형태의 경매이다. 즉 경쟁자들의 가격을 모르는 상태에서 자신의 전략을 결정해야 하므로
불완비정보 동시게임 형태를 띈다.
상대방들의 경매품에 가지고 있는 평가가치를 모르기 때문에 pay-off(보수구조)를 모르는 상태의 게임이므로 불완비 정보하의 게임으로
베이지안 균형을 활용해야한다.
- 최고가밀봉경매: 입찰자들이 입찰가를 써서 내면 최고가를 낸 사람이 자신이 쓴 금액(최고가)으로 낙찰받는다.
-차최고가밀봉경매: 입찰자들이 입차가를 써서 내면 최고가를 낸 사람이 두번째 최고가로 낙찰받는다.
경매와 게임이론
경매를 입찰자에 초점을 맞추어 게임의 형태로 분석해 볼 수 있다.
- 경기자: 입찰자
- 전략: 제시할 가격
- 보수: 각 입찰자가 물건에 평가한 금액- 각 입찰자가 입찰한 금액
'Game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최고가 밀봉 경매 (0) 2022.06.07 최고가밀봉경매 (0) 2022.06.05 불완비정보하의 쿠르노 모형 (0) 2022.06.01 불완전정보와 베이즈 균형 (0) 2022.05.31 반복게임과 방아쇠 전략 (0) 2022.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