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정성의 원리
-
불확정성의 원리 with Fourier TransformMath♾️/Fourier Analysis 2022. 9. 21. 23:14
각 시점에서 파형이 어떠한 진동수로 구성되어 있는지 분해하기 위하여 Gabor Transform을 이용하였다. Gabor Transform을 하게 되면 진동수와 시간을 같은 좌표에서 나타낼 수 있어 특정 시점에서의 진동수들의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 $t$에 대해서만 나타냈을 때와 푸리에 변환하여 진동수 $w$에 대해서만 나타냈을 때와 비교하면 각 축에 대한 해상도가 떨어지는 점을 알 수 있다. ( $\Delta x, \Delta w$가 증가한다.)-> 구분 가능한 개수가 줄어든다. - 불확정성의 원리 Gabor transform을 하였을 때 각각 $t$와 $w$로 나타내었을 때보다 해상도가 떨어지는 이유를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설명된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원리는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