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비정보
-
부분게임완전균형의 한계Game Theory 2022. 6. 12. 19:00
역진귀납법을 이용한 균형은 경기자들이 균형에서의 도달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부분게임에서 합리적으로 행동하도록 함으로서 비현실적인 내쉬균형을 제거하여 SPNE(부분게임완전균형)을 얻었다. 하지만 게임에 불완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SPNE만으로는 완전히 합리적인 균형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진입게임을 통하여 위의 각 균형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진입게임 기업1은 시장에 진입여부를 고민하는 기업으로 기업1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S_1=\{N(포기),E(진입)\}$ 기업2는 시장에 이미 존재하고 있던기업으로 기업1이 시장에 진입(E)시 받아들이지 싸울지를 고민한다. 기업2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S_2=\{A(수용),F(싸움)\}$ 내쉬균형(NE) 위의 게임트리를 보수행렬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
-
경매(auction)의 개념Game Theory 2022. 6. 4. 22:10
경매 입찰(bid)을 통해서 물건을 사고파는 절차를 말한다. - 경매인(auctioneer)은 자신의 물건을 경매에 부쳐 높은 가격에 팔고자 한다. - 입찰자(bidder): 입찰(자신이 사고자하는 가격을 제시)를 통하여 물건을 사고자 한다. * 역경매 경매는 경매인이 물건을 제시하면 물건을 살 사람들이 가격을 제시하는 것과 달리 역경매는 경매인이 원하는 물건을 제시하면 물건을 팔 사람들이 가격을 제시한다. 공공사업이나 물품조달시 사용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학교에서 노트북 100대를 사려고 하면 여러 업체들이 자신이 얼마까지 팔 수 있는지 가격을 제시하는 상황이다. 경매의 방식 경매 중 입찰금액의 공개 여부에 따라 경매방식이 나뉜다. 공개경매 경매를 하는 중에 입찰자들의 가격이 공개되는 형태의 경매이다..
-
불완비정보하의 쿠르노 모형Game Theory 2022. 6. 1. 16:51
불완비 정보하의 쿠르노 모형은 쿠르노 모형에서 기업의 생산기술,비용구조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를 분석한 모형이다. 게임상황 - 시장수요: $P=22-Q$ ($Q=q_1+q_2$) - 한계비용: $MC_1=7, MC_2= 1 \,or\, 13 (각각 \frac{1}{2} 확률)$ - 기업 1 ,2 는 전략으로 자신의 생산량을 결정 - 기업 1은 기업 2의 비용구조에 대한 정보가 없어 비대칭 정보인 상황 -> 기업1이 불완비 정보하에 놓여 있기 때문에 하시니의 자연 개념을 이용하여 확률적으로 상대의 비용구조에 대해서 자연이 결정해주어 불완전 정보 상태로 바꾸어 생각한다. 게임분석 균형찾기 기업 1은 임의의 $q_2^1,q_2^2$가 주어졌을 때 자신의 기대보수 $E\Pi_1$을 극대화하는 것..
-
불완전정보와 베이즈 균형Game Theory 2022. 5. 31. 13:59
불완비 정보 완비정보 하에서는 경기자들이 모두 게임의 구조 및 상대 경기자들의 보수 구조를 알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자신의 전략을 구성한다. 하지만 불완비정보하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완전히 가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므로 전략을 선택할 때 상대 전략에 대한 고려가 어렵다. 예를 들어 판매원이 물건을 팔때 상대방에 대한 인적정보가 적을 수록 상대를 설득하기 위한 전략의 폭이 좁아지는 것과 같다. 사적정보 (Private information) 특정 경기자만 다른 경기자들은 모르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이러한 정보를 사적정보라고 한다. 정보의 비대칭성 어떠한 경기자에게만 사적정보가 존재하는 상황을 정보의 비대칭성이 있다고 한다. 하시니의 기여 불완비 정보의 상태에서는 상대의 전략에 대한 정보가 없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