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 타입
-
inout 파라미터 작동 방식 파해치기Apple🍎/Swift 2025. 3. 11. 22:21
Swift에서 함수의 파라미터로 전달 된 값은 타입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며,Inout 키워드를 통해 이 동작 방식을 변경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파라미터 동작 방식 Swift에는 두 가지 주요 데이터 타입이 있죠? 값 타입 (Value Type) : Int, String 같은 기본 타입 또는 struct, enum 참조 타입(Reference Type) : class 값 타입은 스택에 저장되며 값을 넘겨 줄 때 원래 값을 복사를 하여 복사본을 넘겨주기 때문에 새로 넘겨 받은 곳에서 값을 변경해도 원래 값에는 영향이 가지 않습니다. 그에 비해 참조 타입은 힙에 저장되며 값을 넘겨 줄때 참조값(메모리 주소)를 넘겨주기 때문에 새로 넘겨 받은 곳에서도 같은 ..
-
클로저 종결판Apple🍎/Swift 2025. 2. 23. 21:58
앱을 개발할 때 꼭 마주치게 되는 '클로저'라는 놈, 이 정도 봤으면 정들 때도 되었는데이놈이 모양도 야시꾸리하고 형태도 왔다 갔다 해서 뭔가 찝찝한 녀석입니다. 그래서 오늘날 잡고 산산조각 내보려고 합니다. 가보시지요. 렛츠기딧 클로저는 보통 어떤 동작을 정의할 때 사용하는데요. 컴포넌트 재활용시 동작부만 따로 프로퍼티로 만든다던가 동작의 일부를 런타임 중에 결정한다던가 등... 근데 생각해보면 이미 동작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 이미 존재합니다. 이름하여 함수 그쵸 함수를 이용하면 여러 가지 동작을 미리 정의하고 호출을 통해 코드의 여러 부분에서 활용할 수 있졍그럼 이미 있는데 뭐 한다고 클로저라는 것을 만들었을까요????전통적인 함수의 한계전통적인 프로그래밍에서 함수가 연산을 위해 사용 가능한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