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P
-
Router가 필요한 이유와 작동 과정 살펴보기CS💻/Network🛰️ 2023. 12. 22. 00:16
Layer 3계층과 Layer 2계층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IP 주소만 아는 경우 ARP Request를 통해 해당 IP 주소에 해당하는 기기의 MAC 주소를 알아온다. 이렇게 함으로써 Layer 2계층은 MAC 주소로 Layer 3계층은 IP 주소로 통신이 가능해진다. [ARP : IP 주소와 MAC 주소를 매핑해준다. 허브와 스위치의 작동방식 차이를 OSI 7 Layer 랑 같이 알아보자. 스위치는 기기들 사이에서 데이터의 전달을 중개해주는 기기이다. 서로 연결하고자하는 기기들에 아래와 같이 생긴 이더넷 케이 people-analysis.tistory.com](https://people-analysis.tistory.com/293) 라우터가 필요한 이유 이번에는 쿠루루가 본부와..
-
ARP : IP 주소와 MAC 주소를 매핑해준다.CS💻/Network🛰️ 2023. 12. 21. 14:55
허브와 스위치의 작동방식 차이를 OSI 7 Layer 랑 같이 알아보자. 스위치는 기기들 사이에서 데이터의 전달을 중개해주는 기기이다. 서로 연결하고자하는 기기들에 아래와 같이 생긴 이더넷 케이블을 이용해 한쪽은 기기, 한쪽은 스위치의 구멍(포트)에 꽂으면 people-analysis.tistory.com 이전 포스트에서 탐구해봤던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를 OSI 7 layer와 관련지어 간단하게 다시 정리하면 허브는 Layer 1, 물리 계층에 속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전기적 신호의 전달만 할 뿐 전달하고 있는 데이터의 목적지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허브를 이용해 기기간의 데이터를 전달하면 해당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기기에게 데이터가 전달 된다. 스위치는 Layer2,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하는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