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티티
-
Core Data 뜯어 보기Apple🍎/CoreData 2024. 1. 4. 15:06
Core Data가 뭔가? Core Data stack은 무엇이고 왜 stack이라고 부르는가? Core Data stack은 어떤 부분들로 구성되어있나? 어떻게 persistent container는 작업을 간단히 만들어주나? Xcode는 어떻게 CoreD Data를 위한 Stack을 만들고 이로부터 어떤걸 알 수 있는가? 그래서 Core Data가 뭔데? According to Apple Use Core Data to save your application’s permanent data for offline use, to cache temporary data, and to add undo functionality to your app on a single device. To sync data acro..
-
엔티티와 컨텍스트Apple🍎/CoreData 2024. 1. 2. 14:21
Tstory 나 Naver Blog같은 블로그 어플리케이션을 만든다 해보자.블로그의 주요 기능은블로그 운영자는 글을 작성해 ‘포스트’를 발행한다.블로그 방문자는 ‘포스트’를 읽고 해당 ‘포스트’에 ‘코멘트’를 단다.제일 중요한점은 사용주체(운영자, 방문자)의 활동결과(포스트,코멘트)가 어딘가에 저장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비즈니스(여기서는 블로그)에서 사용되는 객체들 중에서 ‘저장’ 할 필요가 있는 객체들을 엔티티라고 부른다. Entity 란?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체계화해서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곳에 저장될 때 제일 중요한점은 저장되는 데이터 간에 ‘구분’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번째 포스트를 불러와줘하고 요청을 받았는데 정작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 있는 포스트 중에 2번째 포스..
-
JPA에서 엔티티 식별자를 사용하는 이유Programming🧑💻/JPA 2023. 8. 19. 01:23
일반적으로 서비스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요청과 응답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서비스에 글 보기, 댓글 조회하기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요청을 보내면 제공자는 이용자의 요청을 식별하고 이에 해당하는 응답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글, 댓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한다. 조회한 데이터를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가공하여(몇 개까지 보여줄 건지, 어떻게 보여줄 건지)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이용자가 글이나 댓글을 작성하기와 같은 요청을 보내면 제공자는 이용자에게 전달받은 데이터를 사전에 설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맞게 저장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즉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 간의 요청, 응답 흐름에서 서비스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통신이 필요하다. 서비스와 데이터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