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 배열
-
링크드 리스트 : 메모리 알뜰하게 사용하기CS💻/DS & Algorithm 2025. 3. 4. 22:50
빙글빙글 돌아가는 짱구의 하루~~ 자료구조 시리즈 두 번째는 바로 '링크드 리스트'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동적 배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동적 배열은 '콜 스택 구조상 컴파일 전에 메모리 양이 정해져야 하는 한계'를 힙을 사용해 런타임에 메모리를 결정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해결해 줬지요?덕분에 우리는 사용자의 입력, 입,출력되는 파일 등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결정되는 것들을 유연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되었어요. 동적 배열: 스택의 한계를 넘어서자료구조, 알고리즘 중요하다고들 하지만아직까지 앱을 구현할 때 해당 개념들이 엄청나게 도움이 된 적이 없다 보니 필요성을 못 느꼈는데요. ( 기업들에서 코딩 테스트를 요구하니 공부를people-analysis.tistory.com 그렇다면 링크드 리..
-
동적 배열: 스택의 한계를 넘어서CS💻/DS & Algorithm 2025. 2. 27. 19:34
자료구조, 알고리즘 중요하다고들 하지만아직까지 앱을 구현할 때 해당 개념들이 엄청나게 도움이 된 적이 없다 보니 필요성을 못 느꼈는데요. ( 기업들에서 코딩 테스트를 요구하니 공부를 하긴 해야 하는데...... )실질적인 필요를 못 느끼니 어지간히 하기 싫더군요. 그래도 하긴 해야 하니까. ( 굶어 죽지 않으려면 ) 이왕이면 좀 더 쓸모있고 재미있게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가봅시다. 레츠기릿동적 배열이 뭐고, 어떻게 쓰고를 알기 전에 이놈이 '왜' 필요하게 되었는지를 먼저 알아야하지 않을까요?등장 배경 : 스택의 한계우리가 작성한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로부터 메모리를 할당받은 뒤 목적에 따라 메모리 영역을 구분하여 앱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들을 다루는데 사용합니다. 프로세스는 ..